728x90

세션 3

액세스 인증 방식

* 해당 게시글은 을 읽고 정리하면서 공부하기 위해 메모하듯 작성하는 글입니다. BASIC 인증 HTTP/1.0에 구현된 기본(basic) 인증 방식으로 현재에도 일부 사용됨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증 BASIC 인증 과정 클라이언트가 BASIC 인증이 필요한 리소스에 리퀘스트 송신 서버가 상태 코드 401로 응답→인증 필요하단 의미 WWW-Authenticate 헤더 필드에 인증 방식(BASIC)과 Request-URI의 보호 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realm) 포함 브라우저에 username, password 입력하라는 창이 뜸 클라이언트가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Base64 형식으로 인코드한 것을 포함하여 동일한 리소스에 리퀘스트 재송신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콜론(:)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2)

* 본 글은 뉴렉처(Newlecture) 채널의 서블릿, JSP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해당 글도 읽어보면 좋을 듯합니다(세션과 쿠키의 관계: https://www.daleseo.com/http-session/) 세션(Session)세션이란 HTTP 프로토콜에서 브라우저 단위로(사용자 단위) 상태를 서버 측에 저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종류가 다른 두 브라우저 IE, Chrome에서 각각 똑같은 사이트를 요청했을 때, 요청 헤더를 보면 두 브라우저의 세션이 실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세션 작동 방식세션이 작동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브라우저에서 특정 페이지를 최초로 요청응답시 서버에서 세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세션 ID를 브라우저에 전달(쿠키라는 방식으로)이후에 들어오는 매 요청마다 세션 I..

웹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저장(1)

* 본 글은 뉴렉처(Newlecture) 채널의 서블릿, JSP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상태 저장의 필요성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굉장히 다양한 작업들을 할 수 있다. 단순히 브라우저 요청에 데이터를 전달해 그에 맞는 응답을 얻어올 뿐만 아니라 요청 데이터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거나, 사이트에서 로그인 사용자와 비로그인 사용자를 구분하여 다른 응답을 얻기도 한다. 쿠팡과 같은 인터넷 쇼핑몰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최근에 본 제품 목록을 임시로 저장하거나, 원하는 제품을 장바구니에 담아 저장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작업들의 공통점은 모두 여러 번의 요청을 거쳐 동작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응답 방법의 한계 아래 내용이 지금까지 우리가 구현할 수 있는 웹 프로젝..

728x90